정보마당
조문예절
조문예절
조문가는 시간
- 4촌이내 가까운 친지가 상을 당했다는 연락이 오면 가급적 빨리 상가에 가서 상주를 도와 장례준비를 함께 한다.
- 장의 절차, 경비 들을 상의하여 할 일을 각각 분담하여 책임있게 수행하여야 한다.
- 내용을 모르면서 장례진행에 참견하는 태도는 바람직하지 못하다.
- 즉시 달려가서 도와주어야 할 경우가 아닌 사람은 상가에서 성복 이 끝난 후 조문하도록 한다.
- 하지만 현대에서는 이러한 절차를 생략하여 돌아가신 직 후 조문하고 조문 받고 있다.
조문 절차
- 외투는 대문밖에서 벗어 둔다.
- 상주에게 목례를 한다.
- 영정 앞에 무릎 꿇고 분향하거나 술을 한잔 올린다.
- 향나무를 깍은 나무향이면 왼손을 오른손목을 바치고 오른손 엄지와 검지로 향을 집어서 향로불 위에 놓는다.
- 향은 여러개 피우지 않는다.
- 향불은 절대 입으로 불어서 끄지 않아야 하며 두손으로 공손히 향로에 꽂는다.
- 영정에 재배하고 한걸을 물러서서 상주들에게 절을 하고 위로의 인사말을 전한다.
남성조문객의 옷차림
- 현대 장례예절에서는 건정색 양복이 원칙이다.
- 검정색 양복이 준비되지 못한 경우 감색이나 회색도 실례기 되지 않는다.
- 와이셔츠는 반드시 흰색으로 넥타이, 양말, 구두는 검정색으로 함
여성조문객의 옷차림
- 검은 원피스와 주름 치마는 폭이 넓어서 앉아도 신경이 쓰이지 않고 편리하여 많이 사용된다.
- 검정색 구두에 무늬가 없는 검정색 스타킹이 좋다.
- 그밖에 장감이나 핸드백도 검정색으로 통일 시킨다.
- 또한 되도록 색채화장은 피하는것이 바람직하다.
조문시 삼가야할 일
- 유족을 붙잡고 계속해서 말을 시키는 것은 실례가 된다.(장의 진행에 불편을 주고 유족에게 정신적 피로감을 줌)
- 반가운 친구나 친지를 만나더라도 큰소리로 이름을 부르지 말아야 한다.
- 낮은 목소리로 조심스럽게 말하고 조문이 끝난 뒤 밖에서 따로 이야익 하도록 한다.
- 고인의 사망 원인, 경위 등을 유족에게 상세하게 묻는 것은 실례가 된다.
남자의 조문예절
- 오른손이 위로 가도록 두손을 맞잡는다.(평상시에는 왼손이 위로 가도록 맞잡는다.)
- 맞잡은 손을 가슴 높이 까지 올린다.
- 맞잡은 손을 땅에 짚고 꿇어 앉는다.
- 이마를 손등에 대고 몸을 숙여 절한다.
- 오른쪽 무릎을 먼저 세우면서 일어난다.
- 맞잡은 손을 가슴 높이까지 올렸다 내리고 약간 물러나면서 목례 한다.
- 조문의 경우에는 절을 마치고 서로 무릎을 꿇은 상태에서 인사말을 나눈다.
여자의 조문예절
- 공손한 자세에서 두 손을 자연스럽게 양옆에 둔다.
- 두 무릎을 꿇고 앉는다.
- 허리를 20도 정도 굽히고 양손을 앞으로 향하여 바닥을 짚는다.(양손 넓이는 어개 넓이로 한다.)
- 자세를 바로 하고 일어난 다음 목례하면서 뒤로 물러난다.
- 다시 앉는다. 앉은 상태에서 인사말을 나눈다.
인사말
상제의 부모인 경우
“상사에 얼마나 애통하십니까”
“친환(親患)으로 그토록 걱정하시더니 이렇게 상을 당하시어 얼마 나 망극 하십니까”
상제의 아내인 경우
“위로할 말씀이 없습니다.”
“옛말에 고분지통(鼓盆之痛)이라 했는데 얼마나 섭섭 하십니까”
*고분지통 : 아내가 죽으면 물동이를 두드리며 슬퍼한다는 장자의 고사
상제의 남편인 경우
“상사에 어떻게 말씀 여쭐지 모르겠습니다.”
“하늘이 무너진다는 말씀이 있는데 얼마나 애통 하십니까.”
상제의 형제인 경우
“백씨상을 당하셔서 얼마나 비감 하십니까”
* 백씨 : 맏형의 존대, 중씨 : 둘째형의 높임말, 계씨 : 아우에 대한 높임말
“형제를 잃은 마음이 얼마나 크시겠습니까”
자녀가 죽었을때 그 부모에게
“얼마나 상심 되시겠습니까”
“참경(慘景)을 당하시어 얼마나 비통 하십니까”
* 참경(慘景) : 끔찍하고 참혹한 광경을 뜻하는 말
산소365 | 주소. 전라남도 함평군 손불면 손무로676 | 사업자 등록번호. 383-08-01351 | 입금계좌. 신협 131-021-064215
대표. 남상표 | 콜센터. 010-9778-5609 | 개인정보관리책임자. 이기태 | E-Mail so365master@naver.com